글쓰고

EBS 다큐프라임 3부작 <아이의 밥상>

모에니 2015. 6. 3. 15:09


1부. 편식의 비밀


미각은 자궁 속의 태아에서부터 발달된다. 태아, 신생아도 단 맛을 좋아한다.


아이들에게 눈에 보이는 과자,사탕,초콜릿 등을 못 먹게하면 더 먹고싶어한다.


* 심리적 저항 : 금지시키면 소유하려는 욕망이 더 강해진다.


그래서 눈에 보이는 과자를 숨겨놓거나 못먹게하는건 아이들의 욕구를 더욱 강하게 자극하는 짓이다.

그러니 아예 사놓지말아야한다.



음식의 맛은 혀의 맛봉오리(미뢰)에서 느끼는데,  이 미로의 갯수가 아이들은 1만개를 갖고 태어난다. 이는 성인의 3배이다. 
미뢰가 많으면 채소의 쓴맛을 더욱 강렬하게 느끼게된다. 
그래서 편식경향은 8살 이전 유아기에 두드러지게 일어난다. 8살 이후에는 미뢰가 줄어듬


쓴맛이 독과 관련이 있다. 실제로 천연독소는 쓴 맛이 난다. 
원시시대부터 습득되어있는 거라고 할까? 독은 쓰니까 쓴맛이 자연스레 거부반응을 보이게되는...



* 네오포비아 : 낯설고 새로운 것에대한 거부반응
* 음식물 네오포비아 : 낯선 음식에대한 거부반응


어린아이들의 대부분에서 나타난다. 
만 5세까지 음식물 네오포비아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남


그러니까 어릴 때부터 익숙해지게끔 만들어야함.


("푸드 브릿지" 참고)
야채를 이용하여 같이 요리를 하는 것도 좋음
야채를 굳이 먹지않아도 됨, 친숙해지게끔 만들면됨


싫어하는 것에 익숙해직하려면 적어도 8번정도의 노출이 필요하다

야채의 형태를 계속해서 변형을 시키거나 좋아하는 고기같은것과 같이 먹게끔 한다

그리고 거부감이 사라지게되면 갈아서 먹이게함. 그러면서 야채 본연의 맛을 느끼게 해주면 좋음








2부. 과식의 비밀




한번 먹는 양(=1인분 계측기)은 만 3세때부터 사라지게된다. 
그니까 어렸을때는 딱 1인분 정도만 먹음
그 이후에는 주어지는 만큼 먹을수있게됨(시각적인 영향을 받음)



사람은 시각으로 먹는 양을 측정함. 그래서 눈으로 보고 이 정도면 배가 부르겠구나를 측정한다고 함



# 작은 접시와 큰 접시 


무의식 중에 작은 접시에는 작게, 큰접시에는 크게 담음

큰 접시에 음식을 담게되면 보통 때보다 28% 더 많이 담는다.

근데 사람들은 그걸 다 먹는다




접시의 크기가 아이들의 과식을 만들 수 있다.  큰 그릇에 먹으면 1인분 양이 점점 더 많아짐


(근데 내가 다른 곳에서 본 것은 오히려 작은 곳에는 큰 곳보다 더 많이 담는다고 봤었는데 여기에는 이런 결과가 나오네..... 저번에 본건 뭐지? 
작은 접시에 담았을때는 큰 접시보다 적게 담았다고 생각해서 오히려 마음놓고 많이 담는다고했었다. 그래서 큰 접시에다 먹으면 적게먹을수있다고 들었는데.... ㅠ)





Q. 아이들의 먹는 양을 줄일수있는 방법
A. 작은 접시에 담아준다.







먹은 양을 눈으로 직접 보게되면 더 적게 먹을수있다.

















TV를 볼 때 더 많이 먹게됨









TV시청 시간 줄여야함




115 kcl 소모하려면
수영14분 or 빨리 걷기 39분 or 축구 2분










씹는 것에 익숙치 않는 아이들에게 일본에서는 껍씹기 교육을 통해서 씹는 교육을 시킨다. 

껌이나 전병을 30초씩 씹게한다.





가공식품 속 액상과당은 식욕을 자극하지만, 자연식품 속 당은 식욕을 억제한다













3부. 생선의 비밀

















오메가3



200mg = 고등어 10g 정도













한국의 통조림은 미국의 통조림에 쓰이는 참치보다 작기때문에 수은이 높게 나타나지않는다.




작은 생선 > 큰 생선 > 인간
결국 최상위 포식자인 인간이 수은에 중독 될 확률이 높다.



임신부보다 오히려 태아의 수은농도가 더 높다. 중요한건 그 수은농도 중에서 메틸수은이 대다수를 차지한다. 
* 그래서 미나마타현에서는 수은에 오염된 생선을 먹은 엄마에게서 태어난 아이가 미나마타병에 걸렸음. 그 아이는 지금까지도 미나마타병에 걸려있음.


중요한건 엄마가 먹은 수은의 농도보다 태아가 먹은 수은의 농도가 더 높다는것



메틸수은은 신경계 독성물질, 뇌 손상을 일으킴



체내에서 수은이 절반으로 줄어드는 반감기가 대략 2달정도
BUT, 
장기에 쌓인 수은은 더 오래걸림



안전하게 생선을 섭취하려면 작은생선위주로 섭취해

일주일에 2회정도로 섭취


BUT,
임산부나 아이들은 생선섭취 자제, 작은 생선도 주의해야해 
아이들은 어른들보다 수은축적 속도가 더 빠름


비타민C 는 수은배출에 도움된다.
생선과 채소를 곁들이는것도 수은배출에 도움이 됨







(그냥 생선 안먹는게 낫겠음, 더군다나 일본 방사능 생선들도 들어오는 판국에 생선은 아예 섭취하지않는게 좋겠음, 오메가3도 약으로 섭취하면 되지 뭐 ㅋ

나 같이 건강에 관련된 책을 많이 본 사람들은 한번쯤 들어본 내용들이라 그리 생소하고 신선한 내용은 아니다.
EBS다큐프라임, 정말 괜찮다
건강에 대한 정보를 잘 모르는 사람들에게는 좋을 것같다.  )